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서론: 트럼프 관세 정책 발표가 국내 증시에 미친 영향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가 각각 강세로 마감되었으며, 업종별로 명확한 차이가 나타났습니다. 오늘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동향이 국내 증시에 미치는 주요 영향과 업종별 흐름과 향후 전망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 관세 도입을 공식 발표하면서도 즉각 시행을 유예하겠다고 밝혀 국내 증시에 고무적인 영향을 끼치면서 상승 마감 하였습니다. 이러한 관세 정책 발표는 세계 증시 전반에 불확실성을 제공했으나, 한국 증시의 경우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무관세 혜택이 유지되며 오히려 상승하는 계기로 만들어 주었습니다.

    본론: 국내증시 주요 지수 및 업종 동향

    1. 코스피 지수 상승과 기관 매수세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31%(7.88포인트) 오른 2591.05에 거래를 마쳤는데,기관이 3655억 원어치를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견인하였고,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655억 원과 3206억 원어치를 순매도했습니다. 대형주 종목에서는 LG에너지설루션(-1.40%)과 현대차(-1.20%)를 제외한 대부분의 종목이 상승세를 보였고. 특히 셀트리온(1.63%)이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으며, 보험(6.41%), 기계·장비(3.68%), 통신(1.78%), 증권(1.62%) 업종도 크게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최근 삼성전자가 연일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고, 그와 관련된 레거시 반도체 종목들도 같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2. 코스닥 지수 상승과 외국인 매수세

    코스닥 지수는 전장 대비 0.94%(7.04포인트) 오른 756.32에 거래를 마감했는데,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971억 원, 119억 원을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그와 반대로 개인 투자자는 1831억 원을 순매도 했습니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에서는 알테오젠(6.34%), HLB(9.42%), 레인보우로보틱스(5.93%), 리가켐바이오(2.69%), 휴젤(11.20%) 등  바이오 일부 관련주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반면 에코프로비엠(-2.36%), 에코프로(-1.94%), 삼천당제약(-2.77%), 리노공업(-2.39%) 등은 하락하였습니다. 업종별 로보면 일반서비스(3.42%), 제약(2.59%), 기계·장비(2.02%), 통신(1.41%), 제조(0.96%)가 강한 상승세를 보였고, 금융(-0.83%), 비금속(-0.62%), 섬유·의류(-0.61%) 등은 약세 마감 하였습니다.

     

    3. 자동차 및 2차 전지주 약세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와 2차전지 관련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 방침을 재차 확인하면서 약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현대차 주가는 1.20% 하락했고, 에코프로-1.94%와 에코프로비엠-2.36%도  하락 마감 했습니다. 이는 관세 정책이 업종별로 희비를 엇갈리게 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음을 보여 주었습니다.

     

    4. 달러/원 환율 하락

    이날 외환시장에서는 달러/원 환율이 전장 대비 0.26% 내린 1442.80원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이는 트럼프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 완화로 인해 위험 자산 선호 심리가 높아지며 환율에도 긍정적으로 신호를 준 것으로 보입니다. 원화 강세는 수입물가 안정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어 향후 내수 경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결론: 증시 전망 및 대응 전략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유예 발표는 국내 증시에 상승요인으로 작용했으나, 일부 업종에는 여전히 불확실성을 남겼습니다. IBK투자증권의 변준호 연구원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수단적인 성격이 강해 국내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며 "연초 테마주와 내수주, 4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관련주 중심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하였습니다. 향후 국내 증시는 트럼프 관세 정책 변화와 미국 증시의 흐름에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그리고  3~4월부터 수출주에 대한 저가 매수세가 점진적으로 유입될 것으로 예상되고 따라서 낙폭이 과한 종목은 분할매수 관점으로 봐도 무난할 것으로 보여집니다트럼프 대통령의 추가 관세 발표 및 협상 진행 상황에 주목하며, 증시 변동성 속에서도 위기를 오히려 기회 요인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또한, 한국 증시의 유리한 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각 업종별 흐름을 세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고, 특히 한미 FTA로 인해 무관세 혜택이 유지되는 품목 중심으로 관련 종목을 주목하고, 물가상승 및 환율 안정화로 인한 내수주의 성장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세계 증시 환경에서, 국내 증시의 상대적인 안정성을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내일도 좋은 글로 보답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