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을 ‘핵보유국’으로 지칭하며, 1기 때의 관계를 재구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김정은과 좋은 관계라며 북미 정상회담을 긍정적으로 평가했고, 북한의 핵 보유를 인도·파키스탄과 비교하며 인정하는 듯한 발언을 했습니다. 다만, 백악관은 북핵 정책 변화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뉴스로 인해 남북협주가 윰직임을 보일수도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과 일본에 알래스카 LNG 개발 사업 투자를 요구하였으며, 이에 따라 마이크 던리비 알래스카 주지사가 3월 25~26일 방한하여 구체적 협의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 뉴스로 알래스카 가스관관련주 움직임이 나올수 있습니다"
1. 뉴욕증시 3대 지수, 일제히 급락
13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유럽에 대한 새로운 관세 위협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휴전 거부로 인해 급락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투자 심리가 위축되었으며, 주요 지수가 일제히 하락세를 기록하였습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537.36포인트(-1.30%) 떨어진 40,813.57에 거래를 마감하였으며,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은 77.78포인트(-1.39%) 하락한 5,521.52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345.44포인트(-1.96%) 내린 17,303.01에 장을 마쳤습니다.
2.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으로 불안감 가중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 관세 부과를 놓고 유럽연합(EU)과 갈등을 빚으면서, EU산 알코올 제품에 대해 2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하였습니다. 이는 국제 무역 시장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유럽 각국에서도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미국 인구조사국 자료에 따르면, 2024년 미국은 EU에서 약 54억 달러 상당의 와인, 10억 달러 상당의 맥주, 35억 달러 규모의 보드카와 위스키 등을 수입하였습니다. 만약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대로 200%의 관세를 부과할 경우, 이들 품목의 가격이 폭등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미국과 유럽 간 무역 갈등의 장기적 영향
이번 관세 부과 위협은 단순한 경제적 충격을 넘어 미국과 유럽 간의 외교적 관계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문가들은 유럽연합이 보복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글로벌 무역 시장의 불확실성이 더욱 커질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3. 러시아, 우크라이나 휴전 사실상 거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미국이 중재한 우크라이나와의 30일간 휴전 방안에 대해 원칙적으로 찬성하지만,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는 사실상 휴전을 거부하는 것이나 다름없으며, 전쟁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더욱 커졌습니다.
4. 국제 금 가격 사상 최고치 경신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해졌습니다. 금 현물 가격은 이날 미 동부시간 오후 2시 기준 전장보다 1.6% 오른 온스당 2,979.76달러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였습니다.
특히, 경제 전문가들은 이번 금 가격 상승이 단기적인 현상이 아닐 가능성이 크며, 미국의 금리 정책과 글로벌 무역 환경 변화에 따라 추가 상승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하였습니다.
금 가격 상승의 배경
금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은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와 달러 약세입니다. 연준의 금리 정책 변화 가능성과 함께 투자자들은 안전한 자산으로 몰리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5. 국채금리 하락 및 시장 불안
10년 만기 미국 국채금리는 장 마감 시점 기준 5bp(1bp=0.01%포인트) 내린 4.269%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경기 침체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면서 투자자들이 국채로 자금을 이동시키고 있기 때문입니다.
6.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 급락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이날 1.96% 급락하였습니다. 특히, '매그니피센트 7'으로 불리는 대형 기술주들이 일제히 하락하면서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습니다.
- 애플: 3.36% 하락
- 메타: 4% 하락
- 아마존, 알파벳: 2%대 하락
- 마이크로소프트: 1% 이상 하락
- 테슬라: 3% 하락
7. 미국 도매 물가 정체, 연준의 정책 변화 가능성
미 노동부는 2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월 대비 변동이 없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이는 시장의 예상치보다 낮은 수치로, 인플레이션 둔화 가능성을 시사하였습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연준의 정책 변화에는 아직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8. 국제 유가 하락, 경기 침체 우려 반영
관세 전쟁 확산 우려로 인해 뉴욕유가는 하락하였습니다. 글로벌 에너지 수요 둔화 전망이 유가 하락을 주도하였으며,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원유 수요 증가 예상치를 낮추었습니다.
9. 전문가들의 분석과 향후 전망
경제 전문가들은 당분간 뉴욕증시가 변동성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하며, 투자자들은 신중한 포트폴리오 조정이 필요하다고 조언하고 있습니다.
10. 결론
뉴욕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과 러시아의 휴전 거부, 그리고 경기 둔화 우려로 인해 급락하였습니다. 향후 시장의 흐름은 미국의 무역 정책과 연준의 금리 결정이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년3월19일 뉴욕증시, 기술주 하락에 조정 국면 진입 (2) | 2025.03.19 |
---|---|
25년3월14일 글로벌 무역 갈등 속 국내 증시 혼조세… 삼성SDI·메디톡스 (2) | 2025.03.14 |
25년3월13일 국내 증시, 외국인 매도세에 하락 마감…방산주는 강세 지속 (0) | 2025.03.13 |
25년3월13일 뉴욕증시 기술주 반등… 소비자물가 둔화로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완화 (3) | 2025.03.13 |
25년3월12일 코스피 2,570선 회복, 반도체 강세 (3) | 2025.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