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뉴욕증시가 혼조세를 보였지만, 기술주는 강한 반등 흐름을 보이며 시장의 흐름을 주도하였습니다.
미국의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보다 낮게 발표되면서 경기침체와 물가상승이 동시에 나타나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완화되었고, 이에 따라 낙폭이 컸던 기술주 위주로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었습니다.
뉴욕증시 마감 시황 – 혼조세 속 나스닥·S&P500 반등

12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82.55포인트(0.20%) 하락한 41,350.93에 마감하였습니다.
반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27.23포인트(0.49%) 오른 5,599.30을 기록하였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212.35포인트(1.22%) 상승한 17,648.45에 장을 마쳤습니다.
이번 장세에서 투자자들은 소비자물가지수의 예상보다 낮은 상승률을 확인한 후 시장의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되었다고 판단하였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향후 인플레이션 우려가 여전히 남아 있으며, 금리 정책과 경제 성장 둔화 가능성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주목해야 할 요소입니다.
미국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둔화… 인플레이션 우려 완화
미 노동통계국 발표에 따르면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월 대비 0.2%, 전년 동월 대비 2.8% 상승하였습니다. 이는 시장 예상치(전월 대비 0.3%, 전년 대비 2.9%)를 밑도는 수치입니다.
이는 미국 경제의 물가 안정성이 유지되고 있음을 시사하는 지표로, 연준의 금리 정책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는 전월 대비 0.2%, 전년 대비 3.1% 상승하였으며, 이는 예상치(0.3%, 3.2%)보다 낮았습니다. 휘발유 가격이 전월 대비 1.0%, 전년 대비 3.1% 하락하면서 물가 하락을 주도하였으며, 식품 가격 상승률도 0.2%에 그쳐 전달(0.4%)보다 둔화된 모습이었습니다.
다만, 조류 독감 여파로 계란 가격이 10.4% 급등한 점은 예외적인 요소로 꼽혔습니다.
트럼프 관세 정책… 인플레이션 영향 아직 불확실
현재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추가적으로 부과하고 있으며, 지난 2월 초부터 10%포인트, 3월 4일부터 추가로 10%포인트가 더해지면서 총 20%포인트의 관세가 적용되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관세 인상이 장기적으로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특히 수입품 의존도가 높은 산업에서 가격 상승이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대표적으로 중국산 고춧가루는 현재 50%의 관세율이 적용되고 있으며,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수입되는 일부 제품은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에서 제외된 경우 3월 4일부터 25%의 관세율이 부과되고 있습니다.
이는 식료품 가격 상승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며, 장기적으로 소비자 부담 증가로 이어질 우려가 있습니다.
기술주 강한 반등… 테슬라·엔비디아 상승 주도
이날 뉴욕증시에서는 그간 낙폭이 컸던 기술주들이 강한 반등을 보였습니다. 기술주 반등은 투자자들의 저가 매수 움직임과 인공지능(AI) 및 반도체 시장의 성장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 테슬라(TSLA): 7.59% 상승
- 엔비디아(NVDA): 6.43% 상승
- 메타(META): 2.29% 상승
- 알파벳(GOOGL): 1.82% 상승
- 브로드컴(AVGO): 2.18% 상승
반면, 애플(AAPL)은 1.75% 하락하며 다른 기술주와는 대조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애플의 하락세는 공급망 문제와 중국 시장에서의 점유율 하락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결론: 기술주 반등 속 시장 신중한 접근 필요
뉴욕증시는 기술주 중심의 반등을 보이며 상승 마감하였지만, 트럼프 관세 정책과 연준의 금리 결정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향후 시장의 변동성을 고려하며 투자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년3월14일 뉴욕증시, 트럼프의 관세 위협과 지정학적 불안으로 하락 마감 (3) | 2025.03.14 |
---|---|
25년3월13일 국내 증시, 외국인 매도세에 하락 마감…방산주는 강세 지속 (0) | 2025.03.13 |
25년3월12일 코스피 2,570선 회복, 반도체 강세 (3) | 2025.03.12 |
25년3월12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뉴욕증시의 변동성 (3) | 2025.03.12 |
25년3월11일 트럼프발 경기 침체 우려, 국내 증시 강타 (2) | 202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