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1. 월마트 부진한 실적 전망, 미국 소비 둔화 우려 증폭
    미국 뉴욕증시가 20일(현지시간) 모두 하락 마감했습니다. 이는 미국 최대 소매업체인 월마트가 시장의 기대치를 밑도는 실적 전망을 발표하면서 소비 둔화 우려가 커진 영향입니다. 미국 경제를 보면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3분의 2에 달하기 때문에 월마트의 실적 전망은 시장 심리에 매우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날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50.94포인트(-1.01%) 하락한 44,176.65에 마감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26.63포인트(-0.43%) 내린 6,117.52,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93.89포인트(-0.47%) 하락한 19,962.36에 거래를 마감하였습니다. 특히 나스닥지수경우는 2만 선이 붕괴되면서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증폭했습니다.

    월마트는 이날 개장 전 4분기, 영업이익 증가율을 3.5~4.5%로 예상했는데, 이는 시장의 예상치를 밑도는 수치였습니다. 이에 따라 월마트 주가는 6.53% 급락하였습니다.

    월마트 이미지

    2. 소비심리 악화, 유통·기술주 전반에 하락 압력
    월마트의 부진한 실적 전망은 미국 소비자들의 경기 지표를 반영하는 주요 지표로 해석됐습니다. R.J. 오브라이언 앤 어소시에이츠의 톰 피츠패트릭 디렉터는 "월마트가 부진한 가이던스를 제시했다면 이는 소비자들이 지쳤다는 신호일 수 있다"라고 발표했습니다. 밀러 타박의 매트 말리 전략가 역시 "이번 월마트의 실적 전망은 소비 둔화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다"며 "이미 소비자 지표가 매우 실망스러운 수치를 보였고, 최근 소매판매도 예상보다 부진했던 만큼 올해 남은 기간 동안 얼마나 강력한 성장세를 보일지에 대한 시장의 의문이 커지고 있다"라고 지적하였습니다.

    월마트 외에도 다른 주요 유통업체들의 주가가 일제히 하락했는데, 타깃과 코스트코는 각각 2% 넘게 하락했고, 아마존도 1.65% 하락마감했습니다. 월마트의 부진이 소매업 전반에 대한 투자 심리를 악화시킨 결과물입니다.

    기술주들도 역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분석업체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는 국방부의 예산 삭감 가능성 소식에 5.2% 급락했습니다. 팔란티어는 전날에도 10% 넘게 급락했으며, 이틀 연속 급락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팔란티어는 미국 국방부, 중앙정보국(CIA), 연방수사국(FBI) 등 정부 기관을 주요 고객으로 두고 있는 만큼 국방 예산 삭감은 매우 큰 타격으로 작용했습니다.

    금융주도마찬가지로 타격을 받았습니다. JP모건체이스와 모간스탠리는 각각 4.5%, 골드만삭스는 3.9% 하락하며 금융주 전반에 매도세가 나타났는데, 비자와 아메리칸익스프레스 등 카드사 주식들도 각각 1%대 하락세로 마감했습니다.

    3. 경기선행지수 하락, 소비 둔화 우려에 투자심리 위축
    미국의 경기선행지수(LEI)도 투자심리에 악재로 작용했는데, 콘퍼런스보드가 발표한 1월 경기선행지수는 전월 대비 0.3% 하락해 시장 예상치인 0.1% 하락을 밑돌았는데, 이는 소비심리 둔화와 제조업 부문의 약세가 반영된 결과로 생각됩니다. 콘퍼런스보드의 유스티나 자빈스카-라모니카 수석 매니저는 "소비자들의 미래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경기선행지수가 하락했다"라고 발표했습니다.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이 발표한 2월 제조업 지수 역시 1월의 44.3에서 18.1로 하락해 시장 예상치인 20을 밑돌았습니다. 이것은 거의 5년 만에 가장 큰 폭의 하락으로, 미국 제조업 경기 둔화 우려를 낳았습니다.

    또한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 건수도 전주 대비 5,000명 증가한 21만 9,000명을 기록해 노동 시장 둔화 가능성을 보여주었습니다.

    4. 안전자산 선호 심리 강화, 금값 사상 최고치 경신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안전자산 선호 심리도 강화되었는데, 이날 금 현물 가격은 미 동부시간 오후 2시 36분 기준으로 온스당 2,936.38달러에 거래됐었고, 장 초반에는 2,954.69달러까지 치솟으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금 선물 가격도 온스당 2,956.10달러로 전일 대비 0.7% 상승하였습니다. 금값은 올해 들어서만 약 12% 상승했으며,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지정학적 리스크  따라 안전자산 선호가 강화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채권시장에서도 안전자산 선호가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0.03% 포인트 하락한 4.50%를 기록했는데, 미 재무부는 장기 국채 발행 확대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이에 따라 장기물 중심으로 국채금리가 하락했는데, 재무부의 이 같은 입장은 국채 수급 불균형 우려를 완화시키며 금리 하락이 나왔습니다.

    환율 시장에서는 달러화가 약세를 보였고,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는 전 거래일 대비 0.77% 하락한 106.35를 기록했고, 일본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 가능성으로 엔화가 강세를 보이며 달러·엔 환율은 1.23% 하락한 149.61엔까지 하락했습니다.

    5. 국제유가상승, 지정학적 리스크 반영
    국제유가는 이날 상승세를 나타냈는데,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3월 인도분은 배럴당 72.57달러로 전일 대비 0.44% 상승하였습니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4월 인도분은 배럴당 76.48달러로 0.58% 상승 마감했는데, 원유 시장에서는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긴장과 미국 내 원유 재고 감소가 유가상승 요인으로 보입니다.

    6. 연준 인사 발언에 주목, 금리 인하 시점 불확실성 지속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인사들은 금리인하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유지했고, 애틀랜타 연은의 보스틱 총재는 "미국이 새로운 인플레이션 폭발에 직면해 있다고 생각하지 않지만, 새로운 관세 정책, 이민 규칙 등의 변화가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줄 수 있다"라고말했습니다.그러나 "올해 두 차례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3월 기준금리 동결 확률은 97.5%로 유지됐으며, 6월까지 기준금리 동결 확률은 46.7%를 기록해 전일 대비 하락했습니다. 이는 연준의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다소 후퇴했음을 뜻합니다.

    7. 투자자들, 향후 증시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야
    이날 뉴욕증시는 월마트의 부진한 실적 전망과 경기선행지수 하락으로 소비 둔화 우려가 커지면서 하락세를 보였는데, 특히 소비자들의 경기 신뢰도 약화와 제조업 지표 부진 등이 시장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습니다. 안전자산 선호가 강화되면서 금값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으며, 국채금리는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향후 미국 경제의 회복세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증시 변동성 확대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시장 변동성에 대비한 포트폴리오 조정을 생각해야 할 것으로 보이며, 연준의 금리 정책과 소비자 경제지표 등 주요 경제지표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