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코스피 2,570선 마감… 보험, 정유주 강세 속 고려아연 급등

    코스피 10일 소폭 상승… 2,570.39 마감

    10일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6.91포인트(0.27%) 오른 2,570.39로 마감하였습니다. 지수는 8.08포인트(0.32%) 내린 2,555.40으로 출발했으나 이후 코스피지수 상승 전환하여 장중 한때 2,580선을 넘보는 등 강세를 유지하였습니다. 외국인은 4,362억 원을 순매도했지만, 개인과 기관이 각각 2,086억 원, 1,432억 원을 순매수하며  코스피 지수를 방어하였습니다.

     

    코스피지수
    코스피지수

    보험, 정유업종 강세…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 속 급등

    업종별로는 보험(3.27%), 금속(2.01%), 전기가스(1.59%), 화학(1.23%), 금융(1.04%) 등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삼

    성화재(6.44%), 한화손해보험(3.66%), 한화생명(3.53%) 등 보험 업종이 저평가 매력을 바탕으로 상승하였고, 러시아 정유 공장 시설 손상 소식에 S-Oil(8.74%)과 SK이노베이션(6.02%)도 강세를 나타냈습니다.

     

    보험 정유
    보험정유

    반도체·방산·조선주는 차익 매물에 하락

    SK하이닉스(-2.34%), 삼성바이오로직스(-1.55%), 셀트리온(-0.43%) 등 일부 대형주가 약세를 보였습

    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3.97%), HD현대중공업(-2.22%), 한화오션(-0.75%) 등 방산 및 조선 관련 종목들도 최근 급등에 따른 차익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하였습니다. IM증권은 "조선 업황 지표들을 감안할 때 실적 피크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라고 분석하였습니다.

     

     

    조선방산주 지표
    조선방산조선주

     

    코스닥 725.82 마감… HLB 변동성 확대, 엔터주 하락

    코스닥 지수는 1.88포인트(0.26%) 내린 725.82로 마감하였습니다. 코스닥지수는 2.92포인트(0.40%) 내린 724.78로 출발한 후 상승세를 보였지만,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소식 이후 상승분을 반납하며 하락하였습니다. 코스닥은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67억 원, 417억 원을 순매도한 반면, 개인이 570억 원을 순매수하였습니다. HLB(-6.99%)는 간암 신약 FDA 승인 여부 발표를 앞두고 큰 변동성을 보였고, 레인보우로보틱스(-2.65%), 리노공업(-2.52%) 등도 하락하였습니다.

     

    코스닥
    코스닥

    서울 외환시장… 원·달러 환율 1,452.3원 마감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5.5원 오른 1,452.3원에 마감하였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주 발표될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와 국내 정치적 이슈가 증시 변동성을 높일 수 있다고 분석하였습니다. 하나증권 이재만 연구원은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신중한 투자 전략이 필요하다"라고 조언하였습니다.

    향후 증시 전망

    코스피 금리정책 경제지표
    코스피 금리정책 경제지표

    전문가들은 코스피가 단기적으로 2,550~2,600선에서 박스권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하며, 글로벌 경제 지표 및 연준의 금리 정책이 증시 향방을 결정할 주요 요인이라고 분석하였습니다. 또한, 외국인 투자자들의 수급 변화와 미국 시장의 움직임이 국내 증시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투자자 유의사항

    최근 증시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투자자들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전문가들은 단기적인 수익보다는 장기적인 시장 흐름을 고려한 포트폴리오 전략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습니다. 특히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와 지정학적 리스크가 증시의 변동성을 키울 가능성이 있는 만큼 분산 투자와 위험 관리 전략이 필요합니다.

     

    변동성 경기둔화
    변동성 경기둔화

    거시 경제 변수와 글로벌 시장 동향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정책과 유가 변동, 중국 경제 회복 여부 등이 향후 국내 증시에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특히 중국의 경기 부양책 발표 여부와 글로벌 수출 시장의 흐름이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거시 경제 요인을 고려한 장기적 투자 전략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금리정책 코스피와코스닥
    금리정책 코스피와코스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