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2월 7일, 국내 증시는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코스피 지수:
- 전일 대비 14.83포인트(0.58%) 하락한 2,521.92에 마감하였습니다.
코스닥 지수:
- 전일 대비 2.58포인트(0.35%) 상승한 742.90에 마감하였습니다.
투자자 동향:
- 코스피 시장: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403억 원, 2,099억 원을 순매도하였으며, 개인 투자자는 3,307억 원을 순매수하였습니다.
- 코스닥 시장: 개인 투자자가 매수세를 보이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업종별 동향:
- 하락 업종: 보험(-1.72%), 금속(-1.08%), 유통(-0.84%), 금융(-0.87%), 통신(-0.92%), IT 서비스(-1.42%), 화학(-1.70%), 의료·정밀기기(-4.26%) 등이 하락하였습니다.
- 상승 업종: 코스닥 시장에서는 일부 종목이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주요 종목 동향:
- 삼성전자: 0.56% 하락
- SK하이닉스: 0.25% 하락
- 삼성바이오로직스: 6.52% 상승하며 종가 기준 역대 최고가를 기록, 코스피 시가총액 3위로 상승
- LG에너지솔루션: 1.75% 하락
- 레인보우로보틱스: 9.61% 상승
이날 국내 증시는 미국의 1월 고용 보고서 발표를 앞둔 경계감과 중국의 대미 관세 도입 예정 소식 등으로 투자 심리가 위축되며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다만 오늘 유리기판, 로봇, 자율주행,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 테마가 두드러진 강세를 보였습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로봇기술 산업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제조공정에 필수적인 유리기판은 반도체 효율성을 높여 주며 로봇, 물류 및 제조 자동화를 선도하는 자율주행 로봇, 그리고 전쟁 후 재건산업의 중심에 설 우크라이나 재건주가 투자자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고 있고 조만간 주가에서 모습을 보여 줄것입니다. 이러한 산업은 기술 발전과 사회적 필요성이 맞물리면서 빠른 성장을 이루고 있으며, 관련 기업들 역시 투자 기회로 보아야 할것입니다 . 이번 글에서는 유리기판 로봇, 자율주행 로봇, 그리고 우크라이나 재건주에 대해 각각의 특징과 주요 투자 포인트를 말슴 드리겠습니다
유리기판 로봇은 반도체 생산 공정에서 유리 기판을 운반하고 배치하는 일을 담당합니다. AI 수요 증가로 반도체 수요가 증가하면서 고도의 정밀성과 효율성을 요구하는 제조공정에서 유리기판 로봇의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 대표 기업으로는 로보스타, , 에스에프에이 등이 있으며, 이들은 이미 많은 반도체 기업과 협력하여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로봇은 AI와 센서 기술을 활용하여 완전무인으로 물류와 생산제조 과정을 수행하는 기술을 뜻합니다. 전통적인 산업 자동화 기술을 뛰어넘어 스마트 팩토리및 물류 자동화의 핵심 산업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두산로보틱스, 레인보우로보틱스 등이 있으며, 이들은 물류센터와 제조 공장에서 자율주행 로봇의 상용화를 점점 확대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로봇 산업의 매력은 비용 절감, 인건비 상승 문제를 해결하고자 자동화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면서, 성장 가능성은 더욱 발전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또한, 각종전염병 등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물류와 제조의 필요성이많아 지면서 이 산업의 성장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재건주는 러시아와의 전쟁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우크라이나를 복구하는 데 참여하는 기업들을말하는데 주요 섹터로는 건설, 에너지, 인프라 등이 포함되며, 국내 기업 중 현대건설, 삼성엔지니어링, 효성중공업 등이 재건 관련 프로젝트에 주목받고 있습니다. 또한 HD현대건설기계 전진건설로봇 대동기업 범양건영 등이 유망 합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년 2월8일 미국증시 마감시황( 트럼프상호관세,여행항공강세) (2) | 2025.02.08 |
---|---|
주요 자율주행주,우크라이나 재건주 요약 (4) | 2025.02.07 |
25년2월7일 미국시장 마감시황(일라이릴리실적,엔비디아) (2) | 2025.02.07 |
25년2월6일 국내증시 마감 시황(AI,로봇,딥시크관련보안) (1) | 2025.02.06 |
25년2월6일 장중 국내증시 강력한 상승 테마는 우크라이나 재건주 (1)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