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서론

    뉴욕증시가 사흘 만에 반등에 성공하였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산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를 한 달간 유예하기로 하면서 관세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다소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입니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안도하였고, 뉴욕 증시는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뉴욕증시 반등 배경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14% 상승한 4만 3006.59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S&P500지수는 1.12% 오른 5842.63,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46% 상승한 1만8552.73을 기록하였습니다.

     

    백악관 대변인 캐롤라인 리빗은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을 준수하는 자동차 제조업체들에 대해 한 달간 관세 면제를 제공할 것"이라며 "4월 2일부터 상호 관세는 여전히 발효되지만, USMCA와 관련된 기업들의 요청을 반영하여 한 달간 유예하기로 결정하였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추가적인 관세 면제 조치를 고려할 수 있음을 시사하면서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더욱 키웠습니다.

     

     

    미국증시반등과 LNG이슈 그린 이미지

    주요 종목 움직임

    베어드의 투자 전략 분석가 로스 메이필드는 "투자자들은 트럼프 정부가 시장 압력에 대응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평가하였습니다. 다만, 관세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의 펜타닐 대책에 대해 불만을 표명하면서 향후 정책 변화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최근 하락세를 보였던 매그니피센트 7 주식도 반등하였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3.19% 상승한 것을 비롯하여 엔비디아(1.13%), 아마존(2.24%), 알파벳(1.38%), 메타(2.57%), 테슬라(2.6%) 등이 일제히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국내 증시 영향 및 주요 테마주

    한편, 국내 증시에서는 세종시 이전 관련주, 알래스카 LNG 관련주, 우크라이나 재건주, 정치 테마주(이재명 관련주)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1. 세종시 이전 관련주(개헌 관련주)

    트럼프 대통령이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와 더불어 세종시 이전을 검토하라는 발언을 하면서 관련 주식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개헌이 필요한 사안이지만 정치적 논의가 본격화될 경우 관련 종목들의 상승 가능성이 높아질 것입니다.

    대표 종목: 유라테크, 프럼파스트, 대주산업

    2. 알래스카 LNG 관련주

    트럼프 대통령이 알래스카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프로젝트에 대해 언급하면서 한국, 일본 등 아시아 국가들의 참여 가능성을 시사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국내 LNG 관련 기업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대표 종목: 포스코인터내셔널, 동양철관, 화성밸브, 넥스틸, 하이스틸

    3. 우크라이나 재건주

    우크라이나와 미국이 종전 협상을 위한 실무 회담을 개최하기로 합의하면서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주가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미국과 유럽의 지원이 이어질 경우 인프라 관련 기업들이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표 종목: 대동기어, 범양건영, SG, TYM, 전진건설로봇

    4. 정치 테마주(이재명 관련주)

    이재명 대표가 대통령실 세종 이전 가능성을 검토하라는 지시를 내린 것으로 전해지면서 정치 테마주 중에서도 이재명 관련주들이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대표 종목: 오리엔트정공, 디젠스, 동신건설, 에이텍, 형지I&C

    5. 원자력관련주,유리기판관련주

    그밖에 원자력테마로는 두산에너빌리티 우진엔텍 유리기판관련주로는 한빛레이저 등도 관심가질필요있습니다

     

     

    향후 전망

    뉴욕증시의 반등이 국내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관세 정책과 국제 정세 등의 불확실성이 남아 있어 신중한 투자 전략이 필요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변화 가능성,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 중국과의 무역 관계 등이 앞으로의 증시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입니다.

     

    투자자들은 글로벌 경제 흐름과 국내 테마주의 움직임을 면밀히 주시하면서 투자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또한 시장 변동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최근 글로벌 경제 상황이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는 만큼, 투자자들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분산 투자를 고려해야 합니다. 관세 정책 변화, 국제 유가, 공급망 이슈 등 다양한 요소가 증시 변동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철저한 시장 분석과 함께 신중한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하며, 정부 정책 및 글로벌 경제 흐름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