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서론

    미국 뉴욕증시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모드로 인한 무역 정책 발표로 인해 급락하였으며, 투자 심리가 크게 위축되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3월 4일부터 멕시코와 캐나다에 일정대로 25%의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고, 또한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도 10% 인상하기로 결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시장의 반응과 충격이 매우 컸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의 제조업 지표 부진까지 겹치면서 미국증시는 하락폭을 더욱더 키우는 데 일조하였습니다.

    뉴욕증시 주요 지수, 일제히 하락

    3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지수는 전일 대비 649.67포인트(-1.48%) 하락한 43,191.24에 거래를 마감하였습니다. S&P 500 지수는 104.78포인트(-1.76%) 하락한 5,849.72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497.09포인트(-2.64%) 급락한 18,350.19에 마감되었으며, 시장의 불안감이 위축되고 극대화된 모습을 보여 주었습니다. 초반에는 강세로 시작하였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와 캐나다산 수입품에 대한 25% 관세가 예정대로 부과될 것”이라는 발언이 나오자마자 즉시 하락세로 전환되었습니다. AI 및 반도체 관련 업종의 낙폭이 크게 확대되면서 시장 전반에 걸쳐 투자 심리가 크게 위축되었습니다.

    관세정책 이미지

    트럼프, 관세 협상 가능성 일축… 무역전쟁 공포 확산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열린 대만 반도체 기업 TSMC의 미국 투자 발표 행사장에서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협상 여지는 없다"라며 "모든 절차가 이미 완료되었고, 관세는 예정대로 시행될 것"이라고 확정발표했습니다. 또한, 4월 2일부터 상호 관세를 부과할 것임을 재차 확인하였으며, 이는 외국이 미국산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율을 감안하여 미국도 또 비슷한 조치를 취하는 방식이므로 글로벌 무역 긴장을 더욱더 악화시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고 있습니다. 그동안 금융 시장에서는 막판 재협상 이루어져 협상이 타결될 가능성을 기대하였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 가능성을 무시하면서 투자자들의 불안 심리가 급격히 위축되었습니다. 시장은 관세협상일축을 발표하자마자 즉각적으로 반응하였고, 특히 기술주와 반도체 업종이 강한 하락세를 보여주었습니다.

    AI·반도체 업종 직격탄… 엔비디아 8.69% 급락

    AI 및 반도체 업종이 이번 사태의 가장 큰 충격과 타격을 받았습니다. 엔비디아는 8.69% 하락하였으며 시가총액이 3조 달러 아래로 내려앉았습니다. 브로드컴(-6.05%), 인텔(-4.17%), Arm(-8%) 등 주요 반도체 기업들도 일제히 모두급락마감하였으며, 투자자들의 투자 심리가 크게 위축되었습니다. TSMC는 미국에 1650억 달러를 투자하여 반도체 공장 5곳을 신설하겠다고 발표하였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한 관세 정책 여파로 인해 주가는 4.19% 급락마감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아마존(-3.42%), 마이크로소프트(-2.14%), 애플(-1.58%) 등  빅테크 기술주들도 일제히 하락하며 시장 전반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습니다.

    미국 제조업 지표 악화… 경기 둔화 우려 증폭

    이날 발표된 주요 경제지표의 하나인 미국 공급관리협회(ISM)의 2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0.3으로, 전달(50.9) 대비 0.6포인트 하락하며 시장 기대치(50.5)를 하회하였는데, 이는 경기둔화 우려를 보여 준 것이었습니다. ISM의 티머시 피오레 협회장은 "소비 감소와 생산 둔화, 고용 축소가 지속 이어지고 있으며, 이는 기업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첫 번째로 큰 충격을 받고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하였습니다.

    국채금리·달러 가치 하락… 비트코인도 약세 전환

    시장 불확실성이 점점 커지면서 미국 국채 금리는 하락세를 보여 주었습니다. 10년물 국채 금리는 6.6bp 하락한 4.163%로 마감하였으며, 2년물 국채 금리는 3.958%로 3.7bp 하락마감하였습니다. 미국 달러도 약세를 보이며 달러인덱스는 0.95% 하락한 106.59를 보여 주었습니다.

    국제유가 2% 하락…OPEC+ 증산 계획 발표

    국제 유가는 2가지 요인 즉,트럼프  대통령의 세금 정책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와 OPEC+의 증산 계획 발표로 하락세 마감 하였습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4월 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일 대비 1.39달러(1.99%) 하락한 배럴당 68.37달러에 거래를 마감하였습고, 브렌트유 5월 물도 1.19달러(1.63%) 하락한 71.62달러를 마감하며 약세를 나타내었습니다.

    향후 전망…증시 반등 가능성 낮아

    향후 증시는 경기 둔화 우려가 지속되면서 급반등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자들은 연준의 금리 정책과 추가적인 경제 지표 발표에 따라 대응 전략을 세워야 할 것입니다. 다만 낙폭이 과한만큼 단기 반등은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반등 시 포트폴리오 재구성이 절실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