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나스닥·S&P500 상승, 다우지수는 소폭 하락 마감
미국 뉴욕증시가 4월 첫 거래일을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어제글 다시보세요 여러분들 부자 될수 있습니다 부자되는글 아래버튼 에서 보러가세요
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1.80포인트(0.03%) 하락한 41,989.96에 장을 마쳤습니다. 반면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21.22포인트(0.38%) 상승한 5,633.07을 기록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50.60포인트(0.87%) 오른 17,449.89에 마감했습니다.
다우지수는 전일 3거래일 연속 하락을 멈추고 반등한 데 이어 이날은 소폭 밀렸습니다. S&P500은 2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으며, 나스닥은 4거래일 연속 하락에서 벗어나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트럼프 상호관세 발표 초읽기…투자심리 '살얼음판'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2일 오후 4시(한국시간 3일 오전 5시)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발표할 예정인 상호관세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시장을 압박했습니다. 백악관은 해당 관세가 발표 직후 즉시 발효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워싱턴포스트(WP)와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트럼프 경제팀은 대부분의 수입품에 20%의 일률적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다만 국가별로 차등을 두는 방안도 여전히 고려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글로벌 무역 전쟁이 재점화될 가능성이 부각되면서 시장의 불확실성은 커지고 있습니다. 프리덤 캐피털 마켓의 제이 우즈 전략가는 “명확성의 결여와 비밀의 장막이 시장을 제정신이 아니게 만들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기술주 일제히 반등…‘매그니피센트7’ 상승 견인
이날 장에서는 기술주가 강세를 보이며 시장을 지지했습니다. 특히 매그니피센트7(Magnificent 7) 종목들이 모두 상승했습니다. 테슬라는 3.59% 급등하며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고, 마이크로소프트는 1.81%, 알파벳은 1.57%, 메타는 1.67%, 엔비디아는 1.63%, 아마존은 1.0%, 애플은 0.48% 올랐습니다.
엔비디아는 5거래일 연속 하락세에서 반등했으며, 테슬라는 3월 판매량이 전년 동월 대비 34% 증가한 것이 호재로 작용했습니다.
경제지표 부진…경기 침체 우려 고조
경제 지표는 전반적으로 부진했습니다. 미국 공급관리자협회(ISM)가 발표한 3월 제조업 구매자관리지수(PMI)는 49.0으로 전월(50.3)과 시장 예상치(49.5)를 모두 밑돌며 경기 위축 국면에 진입했습니다.
미 노동부가 발표한 2월 구인건수는 756만8000건으로, 직전월 대비 19만4000건 줄어들며 노동시장 냉각 조짐을 보였습니다.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의 GDP나우 모델은 1분기 미국 GDP 성장률을 -3.7%로 추정하며,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켰습니다.
채권 금리 급락…금리 인하 기대 강화
이 같은 경기 둔화 우려에 따라 미 국채 금리는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8bp 하락한 4.16%를 기록했고, 2년물 금리도 3.87%로 하락했습니다.
시카고파생상품거래소그룹(CME)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준이 오는 6월 기준금리를 25bp 이상 인하할 확률은 77.4%로 집계됐습니다. 연내 2차례 이상 인하 가능성은 92.5%, 3차례 이상 인하 가능성은 70.6%까지 반영되고 있습니다.
종목별 희비 엇갈려…뉴스맥스 2일 연속 폭등
개별 종목으로는 뉴스맥스가 상장 후 이틀 연속 폭등세를 보였습니다. 전날 735% 폭등한 데 이어 이날도 179.01% 오르며 공모가 10달러가 233달러까지 급등했습니다.
반면 존슨앤드존슨(J&J)은 파산보호 신청 실패로 7.59% 급락하며 S&P500 구성종목 중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습니다. 항공주도 제프리스의 투자의견 하향 여파로 일제히 하락했습니다.
결론: 시장은 아직 방향을 잡지 못한 상황
이처럼 뉴욕증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방향성을 잡지 못한 채 롤러코스터 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정책 발표 내용과 함께 이번 주 발표될 고용지표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시장 전문가들은 관세 내용이 시장의 우려보다 완화된 수준으로 발표될 경우 기술주 중심으로 ‘안도 랠리’가 나타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반면 관세 강도가 높고 교역국의 보복 조치가 현실화될 경우, 글로벌 금융시장은 또다시 큰 폭의 조정을 맞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