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반등, 연준의 금리 인하 전망 유지로 투자 심리 개선
19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큰 폭으로 반등하였습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두 차례 금리 인하 전망을 유지하면서 시장이 안도한 것으로 보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추진하는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가 있었지만, 연준이 인플레이션 전망을 일부 상향 조정하면서도 금리 인하 계획을 철회하지 않은 것이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덜어준 요인으로 작용하였습니다.
뉴욕증시 3대 지수 상승, 위험자산 선호 강화
이날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일제히 상승하며 강한 반등을 보였습니다. 이는 연준의 금리 인하 기조 유지가 주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시장의 위험자산 선호가 더욱 강화되었음을 의미합니다.
-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 전날보다 383.32포인트(0.92%) 상승한 41,964.63에 마감
-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 60.63포인트(1.08%) 오른 5,675.29
- 나스닥 종합지수: 246.67포인트(1.41%) 상승한 17,750.79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이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투자자들이 위험자산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고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월가의 공포지수라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8.29% 급락하며 19.90으로 떨어졌습니다. 이는 시장이 변동성을 낮게 평가하고 있으며, 투자자들의 심리가 안정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연준, 기준금리 동결… 올해 두 차례 인하 전망 유지
연준은 이날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4.25~4.5%로 동결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이는 경제 상황이 비교적 안정적이며, 시장의 변동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결정으로 해석됩니다.
또한 연준이 발표한 경제 전망에 따르면, 올해 미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1.7%로 하향 조정되었습니다. 이는 종전 2.1%보다 0.4% 포인트 낮아진 수치로, 경기 둔화 가능성이 반영된 것입니다. 반면,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전망치는 2.8%로 상향되었습니다.
이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지속되고 있음을 의미하지만, 연준은 여전히 연내 두 차례 금리 인하 전망을 유지하였습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관세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인(transitory) 것으로 드러난다면 그냥 간과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라고 말하며 시장을 안심시켰습니다.
또한 "미국 경제는 여전히 강하다"고 평가하며 경기 침체 가능성을 일축하였습니다.

국채 금리 하락, 시장의 연준 금리 인하 기대 반영
- 2년물 국채 금리: 6bp(0.06%포인트) 내린 3.993%
- 10년물 국채 금리: 5bp(0.05%포인트) 내린 4.237%
연준이 기존 금리 인하 전망을 유지한 것이 국채 금리 하락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채권 시장에서도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확대되었음을 시사합니다.
금·비트코인 상승, 안전자산과 위험자산 모두 강세
연준의 발표 이후 금융자산 시장 전반에서 매수 심리가 확산되었습니다.
- 금 현물 가격: 온스당 3,051.99달러로 사상 최고치 기록
- 비트코인: 24시간 전 대비 4.4% 상승한 85,677달러
- 이더리움: 7.5% 상승한 2,040달러
주요 기업 주가 동향: 기술주 강세, 인텔은 하락
- 에너지·원자재 업종: 벤처 글로벌(2.85% 상승), 엑슨모빌·셰브론·마라톤(1~2% 상승)
- 기술주(M7): 테슬라(4.68% 상승), 엔비디아(1.81% 상승), 애플(1.2% 상승), 마이크로소프트(1.12% 상승), 아마존(1.41% 상승), 알파벳(2.22% 상승)
- 반도체 기업: 인텔(6.94% 하락)
향후 전망: 불확실성은 여전히 존재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추진하는 '상호관세' 정책이 4월 2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며, 이에 따라 글로벌 무역 환경이 급격하게 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결론: 시장은 반등했지만, 관세 정책 등 변수 주목해야
뉴욕증시는 연준의 발표 이후 반등하였으며, 금리 인하 기대가 유지되면서 위험자산과 안전자산이 모두 강세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관세 정책과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여전히 남아있기 때문에 향후 증시 흐름을 주의 깊게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