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서론

    미국 뉴욕증시가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의 실적에 대한 기대감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우려로 인하여 혼조세로 장을 마감하였습니다. AI 관련 빅테크 및 기술주는 반등에 성공했으나, 다우지수에 포함된 전통적인 우량주는 약세를 보이며 시장의 방향성을 찾지 못하고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투자자들이 향후 경제 흐름에 대해 약간의 부정적인 심리를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엔비디아 이미지

    증시 동향

    26일(현지시간) 미국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88.04포인트(0.43%) 하락마감한 43,433.12로 장을 마감하였습니다. 그러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0.81포인트(0.01%) 상승한 5,956.06을 기록하였고, 빅테크 및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48.88포인트(0.26%) 상승한 19,075.26에 거래를 마감하였습니다. 이날 시장에서는 AI 관련 기업들의 상승세가 특징적이었습니다. 엔비디아와 같은 반도체 기업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및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기업들도 긍정적인 실적 발표로 인해 강세를 보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면, 제조업과 전통적인 금융주는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속에서 상대적으로 부진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엔비디아 실적 발표

    특히 이날 시장의 관심은 온통 엔비디아의 실적 발표였습니다. 엔비디아는 장 마감 후 2024년 11월부터 2025년 1월까지의 분기 매출이 393억 3천만 달러를 달성했다고 발표하였는데, 이는 월가 예상치(380억 5천만 달러)를 3.3% 훨씬 상회하는 수치였다고 볼수었습니다. 주당순이익(EPS) 역시 0.89달러로 시장 전망치(0.84달러)보다 다소 좋았습니다. 또한, 엔비디아의 다음 분기(2025년 2~4월) 매출 가이던스는 약 430억 달러로 시장 예상치(417억 8천만 달러)를 약 2% 상회하는 모습이었습니다. 이는 AI반도체 칩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매우 긍정적인 신호였습니다. 그러나 제가 볼 때는 반도체 시장의 글로벌 경쟁 심화와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로 인해 향후 성장세가 둔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보고 있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 발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캐나다와 멕시코산 제품에 대한 25% 관세를 예정대로 부과 진행하겠다고 발표했고, 유럽연합(EU)산 제품에도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라고 말하였습니다. 이러한 발표는 글로벌 무역 긴장을 고조시키며 시장의 불확실성을 키웠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미국 내 제조업체들은 관세로 인해 원부자재 조달 비용 증가와 유럽 및 아시아 국가들의 상호보복 관세 가능성으로 인해 기업실적이 압박을 받을 가능성이 매우  커졌습니다. 이에 따라 자동차, 철강, 화학 등 다양한 산업이 중대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되며, 일부 기업들은 생산 비용 증가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될 가능성과 인플레이션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향후 금리정책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테슬라, 5 거래일 연속 하락

    미국 전기차 대표주인 테슬라는 3.96% 하락하며 5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전날 8.39% 급락한 데 이어 추가 하락세를 보이며, 시가총액이 9,354억 달러 수준까지 감소하였습니다. 테슬라 주가 하락의 주요 원인은 유럽 시장에서의 전년 대비 약 45% 판매감소와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의 정치적 행보가 소비자들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또한 악재로 작용하였습니다. 제가 볼 때는 일런 머스크의 정치 활동이 테슬라 브랜드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향후 매출과 이익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AI 관련주 강세

    엔비디아는 정규장에서 3.67% 상승 마감하였으며, 실적 발표 이후 시간 외 거래에서도 2% 안팎의 강한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또한, 빅테크 기업들인 메타(2.46%)와 아마존(0.73%) 등 AI 관련 기업의 주가도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메타는 2천억 달러 규모의 AI 데이터센터 건립 계획을 발표하자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크게 높였습니다. 반면, 애플(-2.70%)과 구글 모기업 알파벳(-1.53%)은 하락세를 보이며 일부 빅테크 기업 간 차별화된 모습도 보여 주었습니다.

    결론

    이번 미국뉴욕증시의 혼조세는 AI 투자 기대감과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공존하는 시장 분위기를 반영한 결과로 보입니다. 엔비디아를 비롯한 AI 관련주는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에 긍정적인 모습을 보이며 상승 흐름을 이어갔지만,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 발표와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가 투자자들에게 매우 신중한 태도를 보이게 하였습니다. 향후 시장 흐름은 AI 기술 발전에 따른 투자 기대감이 지속될지, 혹은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더욱 심화될지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자들은 향후 발표될 경제 지표와 정책 변화를 주의 깊게 살펴보며 대응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