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향후 투자 전략: 정책주로 시선 돌릴 때
뉴욕증시의 극단적인 변동성과 무역정책 불확실성 속에서도 국내에서는 정치적 이벤트(조기 대선 )에 따른 테마주 순환매가 계속될 전망입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테마주의 흐름을 잘 읽고 시기적절하게 진입하는 전략이 중요합니다.
특히, 테마주는 정책 발표 및 정치 일정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정부의 정책 기조 변화나 후보자 동향에 주목하여 유연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습니다.
뉴욕증시, 트럼프發 관세 쇼크에 급락 마감
8일(현지 시간) 뉴욕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고강도 대중(對中) 관세 정책 발표로 인해 장중 급등 후 급락하는 극심한 변동성을 보이며 하락 마감하였습니다.
이날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20.01포인트(-0.84%) 하락한 37,645.59에 거래를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79.48포인트(-1.57%) 내린 4,982.77,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335.35포인트(-2.15%) 급락한 15,267.91로 마감하였습니다.
장 초반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의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통화하며 “협상이 잘 될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하면서 지수는 장중 한때 4% 이상 상승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백악관이 중국에 대해 총 104%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하면서 투자 심리가 급랭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상승세를 보이던 증시는 급락 전환하였습니다.
미국 무역대표부는 단기 내 관세 면제는 없을 것이라며 강경 입장을 고수하였고, 이에 따라 무역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더욱 증폭되어 투자자들의 공포 심리가 확산되었습니다.
‘매그니피센트 7’ 기술주 일제히 하락… 애플은 4일간 23%↓
이날 애플은 4.98% 급락하며 4일 연속 하락하였고, 이 기간 총 23%가 넘는 하락률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악의 하락폭으로 시가총액도 2조 5,900억 달러로 줄어들며 마이크로소프트(MS)에 시총 1위 자리를 내주었습니다.
그 외에도 테슬라(-4.9%), 아마존(-2.6%), 엔비디아(-1.37%), 메타(-1.12%), 알파벳(-1.78%) 등 ‘빅테크’ 전반이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 관세 불확실성 속 월가의 반응…“ 바닥 예측 어렵다”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의 스콧 래드너 CIO는 "하락의 근본 원인은 정책 불확실성"이라며, 방향성이 정해지기 전까지는 기술적 반등도 제한적일 것이라 진단하였습니다.
웨드부시의 댄 아이브스는 “트럼프의 관세는 지금까지 봐온 경제 충격 중 최악”이라며, 정책 효과에 대한 오판이 증시 전반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고 평가하였습니다.
국내 증시 관전 포인트: 인맥주보다는 정책테마주 주목
글로벌 증시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국내 증시는 조기 대선 가능성과 함께 정부정책 및 정치테마주가 투자자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현재 시장에서는 세종시 관련주, 일자리 관련주, 저출산 대응주, 지역화폐 관련주 등이 여전히 저점 매수의 기회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대선정국에서의 여당 인맥주와 야당 대표 관련주는 변동성이 큰 장세 속에서도 강세가 기대됩니다.
예를 들어:
- 여당 관련주 중 김문수 관련주, 홍준표 관련주, 한동훈 관련주는 꾸준한 매수세가 유입 중이며,
- 야당 측에서는 이재명 AI혁신관련주 중심으로ㅇㅇ한 종목들도 시장에서 강한 반응을 보일 것으로 보입니다.
✅ 요약
- 뉴욕증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강경한 관세 정책 발표로 급락 마감하였습니다.
- ‘매그니피센트 7’ 포함 대형 기술주는 일제히 하락, 애플은 4일간 23% 하락.
- 무역 정책 불확실성은 시장 하락의 핵심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 국내에서는 조기 대선 및 정책 테마주(세종시, 일자리, 저출산, 지역화폐 등)에 관심 집중.
- 정치 인맥 관련 종목이 시장 주도주로 부상할 가능성 높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