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강경한 무역 정책과 ‘90일 관세 유예설’이라는 가짜뉴스가 글로벌 금융시장에 극심한 불확실성을 가져왔습니다. 미국과 한국 증시 모두 하루 사이 급등과 급락을 반복하며 롤러코스터 장세를 연출하였습니다.
■ 미국 증시, "가짜 뉴스"와 관세 공포에 혼란…나스닥만 반등
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는 극심한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일 대비 0.91% 하락한 37,965.60포인트, S&P500지수는 0.23% 내린 5,062.25포인트로 마감하였습니다.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장중 한때 6% 이상 출렁인 끝에 0.10% 오른 15,603.26포인트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시장의 중심 이슈는 트럼프 대통령이 90일간 관세를 유예할 가능성이 있다는 보도였습니다. 케빈 해셋 백악관 경제위원장의 발언을 인용한 CNBC의 속보가 촉매제가 되었으나, 곧 백악관 대변인이 이를 ‘가짜 뉴스’라고 일축하자 시장은 급락으로 전환하였습니다.
다우지수는 장중 최고 39,207포인트, 최저 36,611포인트를 오가며 하루 변동폭이 무려 2,595포인트를 기록하였습니다.
■ 트럼프의 대중 강경 기조…추가 50% 관세 경고하며 ‘무역 전쟁’ 본격화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34%의 보복 관세를 철회하지 않으면 미국은 9일부터 50%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기존 54%에 추가되면 대중 관세율은 총 104%로 치솟게 됩니다. 그는 “중국과의 모든 협의는 중단되었다”며 강한 메시지를 전달하였고, 이는 시장에 또 다른 충격을 안겼습니다.
이와 동시에 EU와 베트남 등은 미국에 상호 무관세 협상을 제안하며 시장을 진정시키려는 움직임도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에 대해 “영구적 조치가 될 수도 있고 협상의 수단이 될 수도 있다”고 말하며 시장의 불확실성을 더했습니다.
■ 변동성 지수 50 육박…팬데믹 이후 최고 수준 공포 지수 기록
이날 시장 불안은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의 변동성 지수(VIX)에서도 극명하게 드러났습니다. 장중 VIX는 50을 넘기며 코로나 팬데믹 시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가 극단적으로 불안정하다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엔비디아(3.53%), 아마존(2.49%), 메타(2.28%)는 반등에 성공했지만, 애플은 3.67% 하락하며 시가총액이 크게 줄었습니다. 테슬라는 장중 10% 이상 빠졌다가 2.56% 하락으로 마감하였습니다.
■ 국내 증시도 급등락 반복…대형주 부진 속 정치 테마주가 시장 주도
한국 증시도 외국인 자금 이탈과 함께 급락세를 보였습니다. 코스피는 2600선을 내주었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주요 대형주들은 트럼프 관세 정책 여파로 크게 하락하였습니다. 삼성전자는 5만3000원대까지 밀려났으며, 8일 발표 예정인 1분기 실적이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반면 정치 테마주와 일자리·교육 관련주들이 대거 상한가를 기록하며 상승세를 주도하였습니다. 이는 조기 대선을 둘러싼 기대감과 정책 수혜 전망이 맞물리며 개인 투자자들의 자금이 집중된 결과입니다.
■ 정치 테마주·일자리주 ‘폭등’…
개인 자금의 단기 랠리 대표적 정치 테마주인 상지건설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관련 이슈로 4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기록하였고, 경남스틸, 태양금속, 평화홀딩스 등도 상한가를 이어갔습니다. 이 외에도 써니전자, 진양화학 등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청년 정책 기대감이 반영된 원티드랩(29.98%), 윌비스, 아이비김영, 오픈놀, 메가엠디 등 일자리 및 교육 관련주들도 폭등하였습니다.
정치 이벤트와 관련된 기대감은 예년에도 유사한 흐름을 보였으며, 이번에도 개인 투자자들이 적극적으로 단기 수익을 추구하며 해당 종목에 대거 유입되고 있습니다.
■ 과열 주의보…정치 테마주의 급등은 실적과 무관한 신호
일각에서는 정치 테마주의 급등세를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대다수 종목이 펀더멘털과 무관하게 급등하고 있으며, 이는 과거 선거 직후 대거 급락했던 사례들과 유사하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습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이벤트 종료 후 급락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분할매매와 리스크 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하였습니다. 그러나 아직은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조기대선으로 인한 인맥주 정책주 조정은 있겠지만 조정후 추가적인 상승세 유효해 보입니다
특히 여당 인맥주 관심을 여전히 가질수 있으며 이재명인맥주는 특정종목에 대해서만 추가적인 상승이 가능 해 보입니다
■ 개인과 외국인의 엇갈린 매매…시장 불균형이 확대
7일 하루 동안 개인 투자자는 4,500억 원어치의 주식을 순매수한 반면, 외국인은 3,800억 원 이상 순매도하였습니다. 외국인들은 대형주 위주로 매도에 나서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고,
개인은 중소형 테마주에 집중하며 반등을 이끌었습니다.
이처럼 개인 중심의 단기 매수세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지만, 실적과 무관한 매매는 장기적으로 시장의 내실을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도 동시에 제기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