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장 초반 상승과 조정, 2640선 회복 시도
코스피는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에 힘입어 상승 마감하였습니다. 이날 장 초반부터 상승 흐름을 보이며 한때 1% 이상 오르면서 2640선 회복을 시도하기도 하였지만, 기관의 매수세가 점차 둔화되면서 상승 폭을 반납하였습니다.
또한, 이날 코스피 시장에서는 전산 장애로 인해 약 7분간 거래가 중단되는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하기도 하였습니다.
코스피 지수 현황
18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1.65포인트(0.06%) 오른 2612.34를 기록하며 장을 마감하였습니다. 지수는 장 초반부터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수세가 지속되면서 상승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장중 2638.56까지 상승하면서 2640선을 회복할 것으로 기대되기도 하였으나, 기관의 매수세가 둔화되면서 상승 폭을 일부 반납하며 장중 하락 전환되기도 하였습니다. 결국 2610선을 지켜내며 강보합권에서 마감하였습니다.
거래소 전산 장애 발생
이날 코스피 시장에서는 거래소 전산 시스템에 오류가 발생하면서 모든 종목의 거래가 일시적으로 중단되기도 하였습니다. 오전 11시 37분경, 코스피 거래 체결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여 거래가 일시적으로 멈췄고, 약 7분 뒤인 11시 44분경 시스템이 정상화되면서 호가 접수가 재개되었습니다.
그러나 동양철관의 호가 접수는 원활하지 않았고, 결국 오후 12시 5분부로 매매 거래가 정지되었습니다. 이후 동양철관의 거래는 오후 3시에 재개되었습니다.
투자자별 매매 동향
투자자별 매매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4447억 원과 950억 원을 순매수하며 시장을 견인하였습니다. 반면 개인 투자자는 6142억 원을 순매도하며 차익 실현에 나섰습니다.
외국인은 전날에도 유가증권시장에서 6150억 원을 사들이며 지수 상승을 견인하였으며, 이날도 매수세를 이어가며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업종별 등락 현황
- 상승 업종: 보험, 기계·장비 (1% 이상 상승)
- 하락 업종: 오락·문화 (-2.48%), 전기·가스 및 의료·정밀 (1% 이상 하락)
시가총액 상위 종목 흐름
- 상승 종목: 한화오션 (6.66%), 삼성바이오로직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KB금융, 현대모비스 (1% 이상 상승)
- 하락 종목: 기아 (-2.43%), SK하이닉스 (-1.46%)
- 보합 종목: 삼성전자 (5만7600원 유지)
코스닥 시장 동향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03포인트(0.27%) 오른 745.54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개인은 512억 원을 순매수하였으며,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364억 원과 15억 원을 순매도하였습니다.
방산주의 강세 지속
방산주가 최근 강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이 국내 증시로 다시 유입되면서 방산 업종으로 집중되는 흐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항공우주, 한화시스템, 현대로템 등이 외국인들의 집중적인 매수세를 받고 있으며, 연초 이후 방산주의 평균 수익률도 70%를 상회하는 수준입니다.
신고가와 눌림목의 개념
신고가의 의미
신고가는 특정 종목이 과거 최고가를 갱신했을 때를 의미하며, 이는 주가가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집중시키는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일반적으로 신고가를 기록하는 종목은 강한 상승 모멘텀을 유지하며 추가 상승 여력이 크다고 평가됩니다. 이러한 종목들은 시장에서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으며 지속적인 자금 유입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눌림목의 개념
반면, 눌림목은 주가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조정을 받는 구간을 의미합니다. 강한 상승세를 보이는 종목이라도 지속적인 상승보다는 중간중간 눌림목을 형성하며 상승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눌림목 구간은 매수 기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투자자들은 지지선을 확인하며 추가 매수 여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때 지지선이 강하게 유지되는 경우, 다시 반등하여 신고가를 갱신할 가능성이 커지게 됩니다.
결론
코스피는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에 힘입어 강보합 마감하였으며, 방산주가 시장 상승을 주도하는 모습이었습니다. 한편, 거래소 전산 오류로 인해 일시적인 거래 정지가 발생하면서 투자 심리가 위축되는 상황도 있었습니다.
글로벌 경제 및 군비 확충 기조 속에서 방산업체들의 상승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크며, 투자자들은 시장 흐름을 면밀히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