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미국 증시는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S&P 500 지수는 0.39% 상승하여 6,061.47포인트를 기록했고,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71% 상승하여 44,873.22포인트를, 나스닥 종합지수는 0.19% 상승하여 19,692.33포인트를 각각 마감했습니다.

     

    엔비디아가 모처럼 5.2% 오르면서 전체 지수를 견인 하엿습니다. AI서버업체인 슈퍼마이크로컴퓨터가 엔비디아 최신칩 블랙웰 칩을 탑재한 AI 데이터센터를 본격적으로 생산한 게 영향을 미친것으로 보입니다. 슈퍼마이크로컴퓨터 주가도 이날 7.99% 상승 마감 했습니다. AI칩 후발주자인 브로드컴도 4.3% 상승했습니다 한마디로 대형기술주들이 시장을 견인 했습니다.

     

    주요 기업들의 주가 변동

    • 애플(Apple Inc., AAPL): 종가 232.47달러, 전일 대비 0.14% 하락
    •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Corporation, MSFT): 종가 413.29달러, 전일 대비 0.21% 상승
    • 알파벳(Alphabet Inc., GOOGL): 종가 191.33달러, 전일 대비 7.30% 하락
    • 아마존(Amazon.com Inc., AMZN): 종가 236.17달러, 전일 대비 2.45% 하락
    • 메타(Meta Platforms Inc., META): 종가 704.87달러, 전일 대비 0.11% 상승
    • 테슬라(Tesla Inc., TSLA): 종가 378.17달러, 전일 대비 3.58% 하락
    • 엔비디아(NVIDIA Corp., NVDA): 종가 124.83달러, 전일 대비 5.21% 상승

    이날 알파벳의 주가는 7.30% 하락하며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엔비디아는 5.32% 상승하여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습니다. 기타 기업들은 소폭의 변동을 보였습니다.

     

    알파벳의 실적 발표

    알파벳은 이날 실적 발표에서 클라우드 사업의 성장 둔화와 인공지능(AI) 분야에 대한 750억 달러의 대규모 투자를 발표했습니다. 이러한 발표로 인해 주가는 7.30% 하락하며 시장의 우려를 반영했습니다.

     

    엔비디아의 주가 상승

    엔비디아는 이날 주가가 5.32% 상승하며 기술주 중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AI와 데이터 센터 수요 증가에 따른 긍정적인 전망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됩니다.

     

    기타 기업들의 실적 발표

    • AMD(Advanced Micro Devices): 데이터 센터 매출이 예상보다 낮아 주가는 6.27% 하락했습니다.
    • 우버(Uber Technologies): 1분기 예약 건수가 예상보다 낮아 주가는 7.56% 하락했습니다.
    • 피서브(Fiserv): 4분기 이익이 예상보다 높아 주가는 7.1% 상승했습니다.

    경제 지표 발표

    민간 고용 증가 규모는 시장 예상을 크게 상회했는데. 미국 민간 노동시장 조사업체 ADP가 발표한 고용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월 미국의 민간 부문 비농업 신규 고용은 18만3000건 늘었습니다

    . 미국 공급관리자협회(ISM)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도 52.8로, 시장 예상을 밑돌면서 국채금리 하락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미중 무역 갈등 우려 완화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의 무역 갈등에 대해 시진핑 주석과의 통화를 적절한 시기에 진행할 것이라고 말하며 시장의 우려를 완화시켰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했습니다.

     

    국채 금리 동향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이날 4.42%로 하락했습니다. 이는 무역 갈등 우려 완화와 고용 지표 부진이 복합적으로 엮어서 그렇다고 볼수 있습니다

     

    금 가격 상승

    무역 갈등 우려 완화와 안전 자산 선호로 인해 금 가격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의 불확실성 해소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결론

     미국 증시는 전반적으로 기술주 중심으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기업들의 실적 발표와 경제 지표, 무역 갈등 우려 완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 할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향후 시장 동향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